back-end/Spring framework

Spring 03) parameter 전송받기
예를 들어 로그인이나, 회원정보수정 등을 구현할 때 view에서 보낸 parameter를 서버에서 받아주어야하는데 Spring에서는 parameter를 전송받기 위해 총 5가지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 HttpServletRequest 방식 우리가 Servlet + JSP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구현했을 때 많이 봤던 녀석, 바로 HttpServletRequest 방식이다. view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했던 id를 이용하여 HttpServletRequest 객체 안에 담긴 값을 가져오는 것이다. @RequestMapping(value="login.me",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void login(HttpServletR..

Spring 02) Spring의 구조이해 및 설정
우선, Spring이 실행되는 순서는 전 "Spring framework 01) spring 전반적인 구조 파악하기" 에서 설명되었으니 그 글을 참고하기를 ! 1. maven을 활용란 라이브러리 등록 (pom.xml 파일 이해 ) 우선 스프링에서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하여 maven을 이용한다. maven이란, 프로젝트 전체적인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도구로써, 라이브러리 관리(의존성 주입)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프로젝트 구조를 살펴보면 Maven Dependencies라는 폴더가 있다. 열어보면 실제 사용하기 위해 등록했던 라이브러리들이 등록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는 홈페이지 구현의 여러가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라이브러리 등록이 꼭 필요하다. 우선, 라이브러리..

Spring 01) Spring framework의 전반적인 구조 파악하기
1. 서버의 web.xml 파일이 먼저 실행 된 후 그 다음으로 프로젝트 안에 있는 web.xml이 실행된다. 서버의 web.xml이 갖고있는 welcomeFileList의 설정을 프로젝트의 web.xml에서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다. (이전의 index.jsp가 wfl인 것이다.)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Spring ) 프로젝트 환경 설정
1. 인코딩 설정 우선 한글의 경우 UTF-8 인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인코딩 방식을 파일 생성 시 UTF-8로 설정해주어도 되지만 번거로울 수 있으니 한번에 인코딩 방식을 설정하고자 한다. 좌측에 encoding 이라고 치면 인코딩과 관련된 메뉴들이 쫘라락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두 클릭하여 인코딩 방식을 UTF-8로 변경해준다. 그다음으로 spelling또한 인코딩 방식을 변경해준다. 2. 웹설정 기본 웹 설정은 "chrome"으로 변경한다. 3. 메이븐 설정 메이븐을 사용하기 위해 다운받았던 메이븐 경로 세팅이 필요하다. window- preferences - Maven - User Settings 에 보면 두 번째 User Settings 항목이 있다. 다운받아놨던 로컬에 메이븐 파일의 se..